메뉴 건너뛰기

같은 마음 · 같은 열정 · 같은 비전
선교를 위하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국여선교회연합회 nnkumw.org
logo 1회 학당 "미국 청교도 역사와 미원주민 역사"

 

짧게 지나갈 줄 알았던 코로나 19 전염병이 길어지며 일상은 오히려 무기력해졌고, 지루한 긴 생활이 시작됐다. 이런가운데 인터넷을 통해 한인 여선교회 회원들이 모여 예전에 교육받듯 신교육의 장이 될 학당이 열린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게 되었다.
2월 26일 130여 명의 여선교회 회원들이 웹상으로 한자리에 모여 2시간여 동안 미국 청교도와 원주민의 역사를 이길주 교수님의 강의로 배우는데 그동안 우리가 일률적으로 배워왔던 역사의 나열식이 아닌 다른 접근으로, 사상을 중심으로 한 청교도들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알게 된 시간이었다 .
방대한 역사의 자료를 교수님은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있는 알버트 비에르스텓(Albert Bierstadt)  작품을 예로 서양인이 바라보는 원주민들의 삶과 가치관을 설명하면서 쉽게 접근하도록 강의를 시작했는데 이는 이 땅에 살아가고 있던 미원주민들의 평화로운 목가적인 삶과 그 당시 열강들이 새로운 땅을 개척하며 금광을 향해 달려가던 이민자들의 역동적인 모습을 비교하며 두 문명은 충돌할 수밖에 없었음을 설명했다. 두 문화가 충돌할 수 밖에 없었던 미국 청교도들의 근본 사상은 말(WORD) 그대로 언어가 공동체의 목표가 됐을 때 갖는 파괴력이 생기는 힘에 대해 강조했다. 공동체 구성원들의 개인적인 구원은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는 일이고 구원받은 공동체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갖기위해 현재에 멈추어 있는 신앙성이 없어보이는 공동체는 방해자로 판단되고, 그들과 충돌이 일어났을 때는 악으로 판단하여 전쟁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종교단체 중에 그 세력을 넓히며 아픔을 주었던 그 시절에 대해 미연합감리교회는 원주민들에게 사과를 전달하는 공식적인 발표도 있었다 하니 지도자들의 용기에 박수를 보내며 연합감리교회 교인인 것이 자랑스럽다.
이길주 교수님은 강의를 마치며 선교는 일방적인 것일 수 밖에 없음므로 특히, 슬프고 아픈 역사를 가진 미원주민을 하나님의 자녀로 맞이할 때는 물질적인 것으로 혹은 그 문화를 이해하지 않고 바꾸려 하는 선교는 절대 지양해야 한다는 말씀에 그동안 산타클라라연합감리교회에서 원주민들을 향해서 했던 프로그램에 왜 보다 적극적으로 창조된 선교행사를 안 하는 거지라고 가졌던 개인적인 불만이 얼마나 잘못된 생각인지 깨닫게 됐다.
지난해 전국연합회에서 진행했던 환경인권세미나에서 '친구가 되어준다'는 개념으로 선교사역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던 임태일 선교사님의 제안처럼 미원주민들의 행사에 우린 친구로 참여해서 어쩌면 이민 초기에 가졌던 칠면조를 나눠 먹었을 그 마음들이 이제는 불고기로 먹거리를 나누고, 어린이들 장난감을 나누어주며 함께 친구로 정을 쌓고 돌아오는 짧지만, 마음을 전달하는 선교도 중요한 것이라고 내 생각을 고치는 계기가 된 강의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글: 김시춘 권사, 전국연합회 웹 담당자, 북가주 연회 한인여선교회연합회, 산타클라라연합감리교회)

 

 

The 1st HakDang (Virtual School) Reflection
As the COVID-19 pandemic began to last longer than expected, our daily lives started to become rather lethargic, and a long, dull life began. In the midst of all this, I heard the good news that KUMW members would be gathering online to be educated in a virtual school setting, like before.
On February 26, 130 KUMW gathered together online to learn the history of American Puritans and the Native Americans from Professor Kil J Yi for two hours, and it was a time of taking an intensive dive into the Puritans’ history in terms of their values and beliefs–taking a different approach than the typical learning method of chronologically listing events.
Taking the artwork by Albert Bierstadt at the Metropolitan Museum as an example, Prof. Yi started the lecture with an illustration of the lives and values of the natives through a Westerner’s perspective. He explained why the two groups couldn’t help but clash–describ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peaceful, idyllic life of the Native Americans who had been living on the land versus the dynamic life of the immigrants trying to cultivate a new society in search of the gold.
The personal salvation of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solely belongs to God alone, and those communities that appear as faithless and held in the current are judged to be an obstacle to a saved community that aims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And when conflicts arise between them, a war breaks out–which is what happened to them.
I am proud to be a member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as I have heard about the church’s action and the leaders’ courage to deliver an official apology to the Native Americans for the church’s hurtful deeds in the past, acknowledging the history of inflicting pain to the native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ir power as a religious organization at that time.
Prof. Yi ended on a note saying, “Missions cannot be one-sided; we should never do any sort of mission that seeks to change the group’s culture through materialistic means without understanding it, especially when we are trying to welcome the Native Americans with their sad and painful past as God’s children. Those words made me realize how I’ve been wrong in thinking that Santa Clara United Methodist Church’s program for the Native Americans were ‘not upfront or creative enough.’
Like Missionary Taeil Lim’s suggestion that we should participate in missions with a concept of ‘friending,’ I sincerely express my appreciation for the lecture that changed my perspective, having realized that missions in which we share foods like bulgogi with another and hand children’s toys are just as precious as what the early immigrants would have had in their hearts, as they shared the turkey with another.
(Written by Shee Kim, Web master of NNKUMw, Santa Clara UMC)

logo

 

 

1회 한인여선교회 학당 미국의 청교도 역사와 미국 원주민 역사에 참여하고
미국으로 남편의 꿈과 비전을 따라 미국으로 온 지 십 년이란 시간이 지났습니다. 대학원을 마치고 저만의 경력을 쌓아가며 사회에서 일을 하다가 낯선 땅에 와서 저 혼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사모가 되어 시작한 이민교회에서 첫 경험은 모 교회 청년으로서의 신앙생활과 사뭇 달랐습니다. 영어 회중 교회로 파송을 받은 후 한인 공동체와 동떨어진 곳에서 아이 둘을 낳아 기르며 하루하루 살다가 선배 사모님의 연락을 받아 이곳 배움의 마당에 들리게 되었습니다. 종종 연락 주시며 저희 가정을 위해 여러모로 챙겨주셨기에 참여가 쉽지 않았지만 꾸역꾸역 참여했습니다. 남편이 돕는다 걱정하지 말고 배우라 하였지만 오롯이 배움의 기회에 전념하지 못한 건 아이들의 방해공작과 저의 분주함 때문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주제는 저와 남편 그리고 가장 친한 친구 목사님의 주된 이야기 소재였습니다. 이 나라가 처음 이 땅에 정착하며 어떻게 나라를 세워갔는가 특별히 이 땅에 미리 거주하고 있었던 사람들을 백인 이민자들이 어떻게그들에게 했는지는 저에게 있어서 이해할 수 없었던 부분이었습니다. 특히 신앙의 자유를 찾아 자신의 나라를 떠나 목숨을 건 이들이 어떻게 신앙이 다르다는 이유로 원주민들의 목숨과 터전 그리고 그들의 전통과 역사까지 파괴했는지 너무나 역설적이란 생각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이 아픔의 역사를 왜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지 분개해 했습니다. 좋은 친구이자 가족인 친구 목사님의 역사적 견해를 들었지만 공감하기 어려웠습니다. 오늘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어떻게 종교와 경제적 원리가 서로의 필요에 의해서 사용되었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종교적 자유는 타인의 종교적 자유까지 용납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종교적 신념은 공동체의 목적에 의해 이용되었습니다.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서 개인은 무시되었고, 공동체에 속하지 않은 타인은 너무나 쉽게 이용당하다 죽었습니다. 힘을 가진 공동체는 다른 공동체를 억압하고 착취했습니다.
총을 손에 쥐고 힘을 얻게 된 개인은 자신의 생각과 방향에 맞지 않는 타인의 목숨을 끊습니다. 이 땅에 초기 이민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여전히 그 문화가 이어져 가고 있습니다. 그 모습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가 사는 이곳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생각에 너무 마음이 아픕니다. 특별히 보이는 외형의 모습으로 자신과 타인을 구별짓고 우월성을 나타내는 구조는 이 나라의 시작에서부터 이제껏 다양한 모습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 땅에 살며 그 굴곡을 온몸과 마음으로 겪어가며 살아내는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오늘의 배움은 아픈 현실의 뿌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다시금 보게 되었습니다. 기독교의 가르침이 어떻게 오용될 수 있는지 또한 특정 그룹의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며 또 다른 이들을 짓밟는데 쓰여지는 같은 기독교인이라 믿는 저에게는 너무나 아프게 다가왔습니다. 교회는 이 처절한 역사적 사실 앞에 회개해야 합니다. 이민 교회는 서로에게 그리고 아이들에게 이 현실을 가르쳐야 합니다. 교회인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사랑이 폭력과 억압 속에 오염되었는지 회개하고 바로잡아야 합니다. 저는 아이들에게 좀 더 분명하게 역사를 가르치기로 다짐해 봅니다.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기에 오늘도 아이들과 세상을 그리스도의 기준으로 바라보도록 이야기합니다. 이런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글: 김지선 사모, 그리니치제일연합감리교회,커네티컷)

 

 

 

Participating in the 1st NNKUMw Virtual School on "The History of Puritan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History of Native Americans"
It has been 10 years since I came to America following my husband's dream and vision. Coming from a life of working in society after completing graduate school, I became a status of being unable to do anything by myself in an unfamiliar land. My first experience in the immigration church as the pastor’s wife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life of faith as a youth in my mother church. After being assigned to the English congregation church, I gave birth to two children and raised them in an area remote from the Korean community. I was able to join this Virtual school by receiving a call from one pastor’s wife. Though participating wasn’t easy, I tried my best in participating because she had been contacting us from time to time and had been a big help for our family in many ways. My husband told me not to worry and to focus on learning since he would be of help, yet I couldn't fully concentrate on the learning opportunity due to the interruptions from the kids and my busy matters.
Nevertheless, today's topic was on something that my husband, my best friend pastor and I frequently talk about. How people first settled in this country and established a nation on it–especially how the white immigrants treated those natives who have been living on the land–I have always found these hard to comprehend. Particular, I thought that it is very paradoxical how those who risked their lives leaving their countries in search of freedom of faith destroyed their lives, homes, and even their traditions and history because of their different faith. And I was resentful of why they don't teach this painful history in schools. I had listened to the historical standpoint of this topic of my friend pastor, who is a good friend and family of mine, but it was still hard to relate. While listening to today’s lecture, I was able to realize how religion and economic principles were used for each other's mutual needs. I noticed that one’s religious freedom did not tolerate other people's religious freedom. Religious beliefs were used for community purposes. Individuals were ignored for the betterment of the group, and those who were not part of the community were easily taken advantage of and killed. The powerful communities oppressed and exploited other communities. 
When an individual gains power through possession of a gun in their hand, they end up taking the life of another person who is not aligned with their thoughts and direction.  This culture is still continuing, as was the case with early immigrants in the land. The rolled stone was brutally removed and smashed. I am so sorry to think that this is still happening in where we live today. The structural systems that allow one to distinguish oneself from others and display superiority through appearances have been in place in various ways since the beginning of this nation. To the children of God living in this land having been surviving all the ups and downs, today's learning led me to see how the roots of today’s painful reality had started. As a Christian, it was hurting to see how Christian teachings can be misapplied and misused by fellow believers in empowering one’s certain group and trampling on others. 
The church must repent before this devastating historical fact. The immigrant church should teach each other and the next generation about this reality. As a church, we must repent and correct ourselves whether the love demonstrated by Christ Jesus has been contaminated by violence and oppression. I'm determined to teach my children properly about this history. Faith without action is dead, so I remind myself and my children to view the world through the standards of Christ. Thank you for giving me this opportunity. 
(Written by Jisun Kim, New York Conference, Greenwich First Methodist Church)

 

logo

 

배움 학당 그 첫 번째 마당에서 우리는 이 땅의 초기 이민자와 미원주민 간에 일어난 가슴 아픈 과거를 배웠습니다. 더욱 저의 마음을 아프게 한 것은 과거의 폭력과 착취 그리고 억압의 현상을 오늘 우리의 삶에서도 경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피의 역사가 근간이 하나님을 믿는다는 사람들이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사랑의 진리를 잘못 이해하고 삶에 적용함으로써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신앙공동체가 자신의 집단적 이익을 위해서 선택한 결과는 폭력과 전쟁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나라는 여전히 특정 공동체의 이익을 바탕으로 부의 축적을 인생의 성공으로 여기는 문화 안에 갇혀 있습니다. 과거 원주민이라 불렸던 이들이 죽고 노예가 되었던 것처럼 오늘날 여전히 많은 사람이 성공을 향해 달려가는 물질만능주의와 소비주의라는 고통의 굴레 속에서 생명을 잃어 갑니다.


초기 이민자들이 말하는 노동을 통한 부의 축적은 더 이상 이 세계에서 통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인간의 신성한 노동은 이미 돈이 더 큰 돈을 만들어내는 자본주의 안에서 무시당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인간 즉 부를 가지고 있지 못한 인간은 그 노동력 자체에 대한 의구심과 함께 인간 자체의 존엄을 무시당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부의 축적과 사회적 지위와 상관없이 주어져 있는 피부의 색으로 인해서 저의 인간성이 평가절하되고 있습니다. 저만의 이야기가 아님을 아시겠지요? 이 사회의 특권층에 완전히 소속되어 있지 못한 저와 우리는 그들이 말하는 성공을 이루어 내기가 어렵습니다. 태생적으로 다른 존재로 취급당하고 저희들의 존재 자체에 위협을 당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자녀라 부르셨습니다. 이 하나님의 은혜가 무례하게 무시당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을 통해서 우리를 사랑하신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주님의 사랑이 철저하게 유린당하고 있습니다. 성령님께서 우리와 늘 함께하신다고 하셨습니다. 이 믿음 안에 사는 우리가 자신들의 성공을 위해 사용되는 상품처럼 치부되고 있습니다. 경제적 부유함이 삶의 중심이 되는 사회를 천명하고 명맥을 유지하는 공간에서 우리는 매일의 삶을 살아갑니다. 이 사회에서 매일을 살아가는 우리는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요?

배움의 학당이 앞으로 계속 필요한 이유를 저는 뼈저리게 느낍니다. 잘못된 관점을 바로 세우면 오늘을 보고 내일을 향하는 우리의 생각을 바로 세울 수 있다고 믿습니다. 참으로 위대한 미국 그래서 다시금 위대한 과거의 영광을 꿈꾸는 사람들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능력을 키워야겠다고 다짐합니다. 배움의 시간을 통해서 생각하지 못했고, 인정하기 싫었지만 대면해야만 하는 우리의 모습을 마주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신 이길주 선생님과 장을 마련해주신 한인여선교회 지도자분들 그리고 함께 수업에 참여한 주님의 자녀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배움의 시간과 우리의 일상 깊숙한 곳에서 우리와 함께 호흡하시는 하나님께 모든 영광을 돌립니다.
(글: 최동현목사, 그리니치제일연합감리교회, 뉴욕 연회 정회원목사)

 

 

In the first unit of the Virtual School, we learned the painful past between the early immigrants and the Native Americans of the land. What broke my heart even more is that we are experiencing the same kind of violence, exploitation, and oppression seen in the past now in our lives today, and that the history of blood was shed by those who believed in God by misinterpreting the love shown by Christ and misapplying it to their lives. The results of the faith community’s actions for their collective benefit were violence and war. And this country is still trapped in a culture where wealth accumulation is considered a success in life based on the interests of certain communities. Today, many people are still losing their lives in the throes of materialism and consumerism, just as those who used to be called natives died and became slaves.
What early immigrants call the accumulation of wealth through labor no longer works in this world. Humans’ sacred labor is already neglected within the realms of capitalism, a system in which money creates more money. As a result, human beings without wealth are being ignored of their dignity, getting doubts about the labor force itself. Unfortunately, my humanity is being devalued due to the accumulation of wealth and the color of my skin given regardless of my social status. You know it's not just me, right? You and I, who are not fully affiliated with the privileged class of this society, find it difficult to achieve what they so call success. They are naturally treated as different beings and feel threatened by our very existence. God has called us His children. This grace of God is being rudely ignored by certain people. Through Jesus Christ, He has shown to us that he loves us. This love of the Lord is being completely violated. The Holy Spirit said He will always be with us. We who are living in this faith are dismissed as products that are used for their own success. In a space where economic wealth is the sole center of life, we live our daily lives in a place where we declare and maintain a clear-cut society. Then what should we do, as we live every day in this society? I truly feel the reason why this learning school must continue going forward. I believe that if we set the wrong beliefs right, we can set our outlooks on how we view today and set our thoughts for tomorrow in the right direction. What a great America–and living amidst those dreaming for the past glory–we must commit in developing our worldview. I would like to thank Professor Kiljoo Yi for teaching us and letting us face our realities that we hadn’t thought of and did not want to admit, and the leaders of NNKUMw for providing this opportunity as well as all of God’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And I give all the glory to God who breathes alongside us in our time of learning and in our daily lives.
(Witten by Pastor Dong-hyun Choi, Greenwich First Methodist Church, New York Conference Elder)

logo 영우먼 리더십세미나 "인종정의와 환경정의"

 

Young Women Leadership Seminar 가 한인여선교회 전국연합회 주최로 3월 20일 토요일 Zoom 세미나로 열렸다. 총25명이 참석해서 인종정의/ 아시안 혐오범죄와 환경정의에 대해 강의를 듣고 토론을 했다. 전국연합회 영우먼 부장인 박선민 전도사가 전체를 인도했고, 미국여선교회 본부에서 Emily Jones, Elizabeth Lee 가 세미나를 인도했다. 특별히 전국연합회 임원들과 회원 몇분이 참석하여 세대를 넘어 함께 배우고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편집자 주

 

영우먼 리더십세미나- “인종정의와 환경정의” 세미나를 참여하고
인종 및 환경 정의에 관한 한인여선교회 전국연합회의 영우먼 리더십세미나는 이보다 더 완벽한 시간에 계획될 수 없었습니다. 반아시아 혐오 범죄의 증가와 세미나를 며칠 앞두고 애틀랜타 총기 난사 사건의 비극적인 소식으로 인해 우리는 그 어느때보다 단결과 공동체가 필요합니다. 이 세미나는 모든 연령대의 여성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서로 배우고, 반영하고, 공유하고, 성장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했습니다. 나는 진심으로 영감을 받고 희망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1.5 세대 한국인으로 자란 저는 제 자신을 옹호할 때 보다 조용하고 중립을 지켰던 때를 더 많이 기억합니다. 내가 수줍은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그것이 미국 친구들과 어울리는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는 친구들이 내 "작은 눈"에 대해 인종 차별적인 말을 하거나 "개 먹는 사람"이라고 불렀을 때도 웃어넘기는 법을 배웠습니다.
만약 내가 나자신을 옹호하려고 한다면 저는 "너무 예민한" 사람으로 보여질 것이고 "농담을 받아들이라"는 말을 들을 것입니다. 최근에 와서야 비로소 나의 침묵이 나뿐만 아니라 나의 아시아 공동체에 해롭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억압자의 편을 들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나는 너무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꼈습니다. 억압받는 사람들과 목소리를 높여 연대를 보여주고 싶었지만, 제 목소리가 변화를 줄 수 있을지 의문이었기 때문에 저는 제가 작다고 느꼈고 저 자신을 믿을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이 세미나에 대해 들었을 때, 그리고 인종과 환경 정의에 관한 것이라는 걸 들었을 때, 저는 하나님께서 저를 참석하라고 부르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무겁지만 희망찬 마음으로 줌 미팅에 들어갔는데, 지금 돌이켜보니 이런 기회를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세미나 동안, 우리는 종이에 우리가 살아가는 가치 하나를 적으라고 들었습니다. 나는 즉시 "친절함"이라는 단어를 적었습니다. 친절은 사랑, 존경, 용서, 그리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지키라고 부르신 많은 다른 가치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나는 친절을 선택했습니다. 세미나가 끝날 무렵 우리는 사회 정의와 기후 변화 문제에 대해 방금 배운 내용을 생각하면서 우리의 말을 되돌아보도록 요청받았습니다.
그때, 나의 머리를 강하게 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나는 침묵할 때 정말로 친절을 베푸는가? 인종 차별적 농담과 발언을 못 들은 척 할 때 정말 친절을 베푸는가? 지구에 해로운 낭비적인 습관을 계속할 때 정말 친절을 베풀고 있는가? 나는 내가 생각했던 것만큼 내 말을 지키고 가치 있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하지만 이런 느낌을 받은 사람은 나뿐이 아니라는 것도 깨달았습니다.
우리가 서로의 생각을 나누면서 나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많은 자매도 그들이 얼마나 젊거나 현명하든 자기 인식과 행동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리 자신과 이 세상에서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을 위해 싸우기 위해 한 걸음을 내딛는 것입니다.

세미나에서 이 단계는 개인마다 매우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었고, 그래도 괜찮습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인종 정의를 향한 그들의 한 걸음은 아만다 응우엔(Amanda Nguyen)과 같은 반아시아 혐오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게시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아시아 커뮤니티 내의 친구에게 안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환경 정의를 향한 발걸음은 자연을 낭비하는 기업에 대한 평화적 시위에 참여하거나 식료품을 운반하고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가방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모두 하나님의 창조물을 보호하고 보살피기 위해 같은 목표를 향해 싸우고 있다는 것입니다.

(글: 김예리, 영우먼 리더십세미나 참석자, 볼티모어 에덴교회)

 

 

Young Women Seminar Reflection
The NNKUMw Young Women’s Seminar on Racial and Environmental Justice could not have been scheduled at a more perfect time. With the rise of anti-Asian hate and the tragic news of the Atlanta shooting just days before the seminar, we need unity and community more than ever. This seminar united empowering, faithful women of all ages and provided a safe space to learn, reflect, share, and grow with one another. I left feeling truly inspired and hopeful.
Growing up as a 1.5 Generation Korean, I remember more times when I stayed quiet and neutral than when I stood up for myself. This was not because I was a shy person, but because it helped me fit in with my American peers. Even when classmates said racist comments about my “small eyes” or called me a “dog-eater,” I learned to laugh it off because if I tried to defend
myself, I would be seen as “too sensitive” and be told to “take a joke.” It was not until more recently when I realized that my silence was harmful to not only myself but also to my Asian community because it signified that I was siding with the oppressor. I felt so guilty and shameful. I felt small and doubtful because although I wanted to speak up and show my solidarity with those who are oppressed, I questioned whether or not my voice could make a difference. So when I heard about this seminar and how it was going to be on racial and environmental justice, I knew that God was calling me to attend. I entered the Zoom meeting with a heavy but hopeful heart, and reflecting now, I’m so grateful that I took the opportunity.
During the seminar, we were told to write down one value that we live by on a piece of paper. I immediately wrote down the word “kindness.” I chose kindness because it encompasses love, respect, forgiveness, and many other values that God has called us to keep. At the end of the seminar, we were asked to reflect on our word while thinking about what we’ve just learned about social justice and climate change issues. Then, it hit me. Am I really showing kindness when I stay silent? Am I really showing kindness when I brush off racist jokes and comments? Am I really showing kindness when I continue my wasteful habits that are harmful to our Earth? I realized that I do not hold my word as high and valuable as I thought I did. But I also realized that I wasn’t the only person that felt this way.
As we shared our reflections with one another, I learned that many of my sisters in Christ also struggle with self-awareness and taking action, no matter how young or wise they are. But what matters is that we recognize the need for change, within ourselves and within this world, and take just one step towards fighting for it. The seminar taught me that this one step can look very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and that’s okay. For some, their one step towards racial justice may be posting on social media to spread awareness on anti-Asian hate like Amanda Nguyen. For others, it may be checking in on a friend within the Asian community. A step towards environmental justice may be participating in peaceful protests against wasteful companies or using a reusable bag to carry groceries and reduce the use of plastic. What’s important is that we are all fighting towards the same goal, to protect and care for God’s creation.

(Written by Yelee Kim, Young Women Leadership Seminar)

 

logo

 

어느 2월 저녁, 선민이 보낸 3월 20일 NNKUMw의 인종 및 환경 정의 세미나 개최에 대한 문자로 핸드폰이 울렸고, 저는 망설임 없이 승낙했다. 정의의 교차성을 굳게 믿고 한인여선교회 전국연합회의 지원을 받아 2018년 UMW 4년차 대회(UMW Assembly)에 참석하여 긍정적이고 영향력 있는 경험을 한터라, 나는 전화통화로 바로 등록하고 내 일정에 토요일 세미나를 추가했다.
세미나에 참석하겠다고 신나게 등록하고 30일도 채 되지 않은 2021년 3월 16일이었다. 그 날 아침 나는 아틀란타 총격사건에 관한 아침 팟캐스트 기사를 들으며 하루를 맞이했다. 수요일이 지나고 목요일이 지나고 금요일까지의 시간은 마치 하루가 72시간 넘게 흘러만 가는 것처럼 느껴졌다. 이 72시간 이상의 긴 하루는 눈물, 침묵, 분노, 공포, 좌절, 공허, 무거움으로 가득했고, 어느덧 세미나 당일인 3월 20일 토요일이 다가왔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세미나 참석과 웹 세미나에 참여하는 것을 즐거워하기때문에 이번 세미나를 열어주셔서 감사했다. 특별히 이 세미나 경험이 내 영혼에 필요했던 것들을 채워주어서 더욱 감사했던 건 바로 같은 동양인, 믿음의 한인여성들과의 안전한 공간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그 72시간동안 나는 내면의 생각들을 자연스럽게 천천히 묵상하며 노력했다. 독서, 영상, 음악, 숙면, 기도, 일기쓰기, 명상, 자기요법을 하면서 72시간 넘도록 길게 느껴졌던 긴 하루를 보냈었다. 내 영혼이 정말 필요로 했던 것은 이제 이 문제에 대해 함께 얘기하고, 다른 동양인 여성들과 그들의 각자 이야기들과 경험에 대해 믿음의 사람들로부터 듣는 것이었다.
이번 세미나가 열린 시기에 대해 감사한 것은 만약 주최자가 다른 곳이었거나, 혹 내가 개회 기도를 부탁 받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나는 인종 정의라는 이슈에 대해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추후 녹화본을 시청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이 세미나를 가능하게 해주셔서 감사하고, 공동체와 안전한 공간이 필요한 젊은 여성인 저를 온라인상으로 맞아주시고 환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인연합감리교회 여선교회에 계신 믿음의 선배님들, 진리와 지혜의 나눠 주시고, 저희 젊은이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시고, 저희의 이야기들이 존중받고 경청받음을 느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커져버린 세대와 문화차이를 메울 수 없다는 우려를 깨 준 공동체가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떠한 차이도 전혀 느끼지 못했습니다! 정의를 구하고, 선함을 사랑하고, 하나님과 함께 겸손하게 동행하는 중요한 일을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글: 윤여진, 영우먼 리더십 세미나 참석자)

 

 

One February evening, my phone buzzed with a text from Sunmin about NNKUMw  hosting a racial and environmental justice seminar on March 20, and I replied with a yes  without hesitation. As a firm believer of the intersectionality of justice and having had  such a positive and impactful experience attending the UMW Assembly in 2018 with the  support of the NNKUMw, I registered for the call and added the Saturday seminar to my  calendar.
Less than 30 days from my excited yes to the seminar was March 16, 2021. I woke up  with my morning podcast detailing the Atlanta shootings. That Wednesday followed by Thursday followed by Friday felt like one 72+ hour-long day. This 72+ hour long day was filled with tears, silence, rage, fear, frustration, emptiness, and heaviness, and before I came to realization, it was already Saturday March 20, the day of the seminar.
I’m thankful for the seminar because I honestly enjoy attending seminars and participating in webinars. But I’m mostly thankful for this particular seminar experience  because it provided what my soul had needed–a safe space for Asians, and Korean  American women of faith. I had done the inner work to process. I had taken up the span of a 72 hour long day to reflect, pray, journal, meditate, and self-therapy in books, Netflix, music, and sleep. What my soul required to process was now to speak on this issue and also hear from other Asian women and people of faith about their experiences.
Not everything happens for a reason, and I’m grateful for the timing of this seminar because, had it been another group organizing this event and had I not been asked to do the opening prayer, I might have skipped the event and waited for a recording of the call later to avoid interacting with people who just weren’t going to get it with racial justice being one of the main topics.
So, I thank you for making this seminar possible. Thank you for welcoming me to the virtual space, a younger woman in need of a community and safe space. Thank you, older Korean United Methodist women, for speaking your truth, sharing your wisdom, and encouraging us younger folks to speak up and feel heard. Thank you for being a community that proved the cliche wrong about the generational and cultural gap being too large to fix–I didn’t feel any gap to be bridged or closed! Thank you for doing the important work of seeking justice, loving kindness, and walking humbly with God.  Praise God.
(Written by Yeo Jin Yun, Young Women Leadership Seminar)

logo 북조지아 연회 한인여선교회연합회

 

북조지아 연회 한인여선교회연합회 세미나를 마치고
지난 3월 13일 한인 여선교회 전국여선교연합회가 주최하는 ‘코로나 시대의 여성의 리더쉽 세미나’를 회원들과 함께 참석하였습니다.
김명래 총무로부터 1883년 오하이오 리벤나의 루신다 볼드윈(Lucinda Baldwin)이라는 한 여성이 조선의 여성들에게 복음과 교육을 위한 사역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믿음으로 기도하며 자신의 사재를 털어 $88을 지정헌금을 내어 시작한 작은 일들이 오늘날 미국과 한국 여선교회의 커다란 주춧돌이 된 것을 들었습니다. 그 뿌리로부터 오늘날까지 한인여선교회 전국연합회로 이어진 여선교회 사역은 이제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 그러나 한인여선교회 사역을 통해서 지금의 어렵고 힘든 환경을 아름답고 슬기롭게 지내기 위해 우리가 속한 교회 공동체에 대해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이웃을 섬기며 나누어야 한다는 중요성을 공감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한인여선교회라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누구보다 먼저 하나님의 창조의 원칙을 따라 말씀을 배우고 기억하고 바르게 지켜서 사회의 모범이 되고,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에게 평화의 삶을 나누어야 함을 배웠습니다.
늘 배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신 하나님과 한인여선교 전국연합회의 끝없는 노력에 감사를 드립니다.
(글: 피경옥 권사, 북조지아 연회 한인여선교회연합회 회장, 아틀란타 한인교회)

 

 

Attending the N. Georgia Conference KUMw Network Seminar

On March 13, I attended the "Women's Leadership Seminar in the COVID-Era" hosted by NNKUMw. I heard from Myungrae Lee that in 1883, a woman named Lucinda Baldwin from Ravenna, Ohio, gave an initiation offering of $88 with a heart to start a ministry for the gospel and education for the women of Joseon. Those roots have grown and developed, leading to UMW ministries all the way to our today’s NNKUMw, as we go through the pandemic. However, through the ministry of the NNKUMw, I was abl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erving and sharing with our neighbors with a sense of mission to live beautifully and wisely in this current difficult environment.

As a member of the KUMW community, we learned that we should learn, remember, and keep God’s Wor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God's creation, being an example to the society, and sharing a life of peace with our neighbors. I thank God for always giving me such opportunity for growth through learning, as well as the NNKUMw for their endless efforts every time.

(Written by: Kyung Ok Pi, President of N Georgia Conference KUMw Network, Korean Church of Atlanta)

logo 뉴잉글랜드 연회 한인여선교회연합회

2021년 3월 6일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미국뿐만이 아니라 세계적인 명문 하버드대 존스턴 게이트(Johnston Gate) 앞에서 100여 명이 넘는 한인들과 미국인들 속 파란 하늘에 휘날리는 태극기와 함께 "논문 철회", "램지어 사임"을 외치며 '아리랑'이 울려 퍼졌다. 하버드 로스쿨 존 마크 램지어 교수의 왜곡된 논문 철회와 파면 그리고 엘스비어 출판사를 향해 규탄대회가 시작된 것이다.
"존 마크 램지어는 증거 자료도 확보하지 않았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억울함을 들어보지도 않은 채 일본 우익의 전쟁 역사 수정자를 추종하는 일명 미쓰비시 교수로 결국 터무니없는 논문을 마무리했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으로서 법을 가르치는 법학자로서
거짓과 진실조차도 구분하지 못하며 학자로서 연구 진실성을 가진 제대로 된 논문도 못 쓰는데 어떻게 강단에 서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겠는가. 법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학자로서 부끄럽지 않은가. '펜대' 하나로 한 맺히고 사무친 가슴에 또다시 폭력을 행하는가." (신 영/Young Shin) 발표 성명문 중.
뉴잉글랜드 연회 한인 여선교회연합회(회장 김지영)에서도 이번 램지어 교수의 왜곡된 논문에 그냥 바라볼 수 없다는 의견이 모아져 회장과 임원진 등 몇 사람이 참여했다.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 존 마크 램지어(J. Mark Ramseyer)는 전시 일본군 위안부는 강제 동원된 성노예가 아닌 '자발적 매춘부'였다는 논문을 3월 발행 예정인 학술지 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ics에 태평양 전쟁 당시 성계약(Contracting for in the Pacific War) 왜곡된 진실의 논문을 발표할 계획이었다. 램지어는 논문에서 위안부 문제의 역사적 요소를 배제하고, 위안부 문제를 매춘업자와 여성 간 경제학적 '게임이론'만 설명했다.
우리 연합감리교회 여선교회의 역할을 생각해 볼 때, 여성과 아동 그리고 청소년의 영향이 큰 사회적 이슈들에 집중하고, 이민, 환경, 기후 변화, 가정 폭력, 인신매매 등의 문제들에 관심을 갖는 것이 주요 안건임을 안다. 이번 램지어 교수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여성 인권의 문제이고, 아동 학대이며, 성폭력임이 틀림없다. 우리가 이처럼 왜곡된 사실에 대해 입 다물고 물러설 수 없는 이유이다.
이 모든 것들은 하나님이 우리 연합감리교회 여선교회에게 주신 철저한 명령이며, 우리가 감당하고 실천해야 할 몫이다. 이제부터 시작이다. 이처럼 왜곡된 진실 앞에 물러서지 않고, 의로 바로 서서 진실을 찾아내야 한다. 이 세상에는 아니 가까운 우리 지역을 살펴보더라도 억울하게 당하며 목소리 한번 제대로 내지 못하고 사는 약자들이 얼마나 많은가.. 우리는 단 하루도 한순간도 잊어서는 안 될 일이다. 우리에게 생명을 주시고 '호흡'할 수 있는 시간을 주신 까닭에 소명을 안고 오늘 이 시간에도 우리에게 할 일이 있음을 깨닫는다.
(글: 신 영, 뉴잉글랜드 연회 한인여선교회연합회 서기, 북부보스턴 감리교회)

 

 

 Protesters call for ‘Prof. Ramseyer’s Thesis Revocation’ in Harvard University

On March 6, 2021, the song "Arirang" rang in front of the world-renown prestigious Harvard University Johnston Gate in Cambridge, Massachusetts, with the crowd shouting "Withdraw Thesis" and "Ramseyer Resign" along with Korea’s national flag flying in the blue sky. The fight for denunciation against Harvard Law School Professor John Mark Ramseyer distorted the thesis and Elsevier Publishing had begun.

"John Mark Ramseyer did not provide any proof or evidence that can support his claim nor heard out the innocent truths of the Japanese’ comfort women victims, finishing his thesis as AKA ‘Mitsubishi Professor’ supporting Japan’s atrocities in the war. How can you stand on the platform and teach students when you are a teacher who cannot tell apart lies from truth, unable to write a proper paper with a research integrity as a scholar? As a scholar who studies and teaches law, aren’t you ashamed–you are once again inflicting violence on those wretched hearts with your simple words.” (excerpt from Young Shin’s statement)

Several people, including the president and executives of New England Conference KUMw Network, gathered their opinions and decided that Ramseyer’s distorted thesis should not be overlooked, so we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denunciation event. Harvard Law School professor John Mark Ramseyer’s distorted thesis on the wartim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falsely claiming that it wasn’t a forced sexual slavery but rather a 'voluntary prostitution,’ was due to be published in March, on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ics. Ramseyer excluded the historical elements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ct in the thesis and only explained the problem as a 'game theory' of economics between the woman and the vice racketeer.

Considering the role of UMW in the United Methodist Church, we are aware that one of our main agendas is to focus on social issues that pose substantial impact on women, children and youth, thus paying attention to issues such as immigration, environment, climate change, domestic violence, human trafficking, etc. Hence, Ramseyer’s false claim on the Japanese military’s sexual slavery is an issue concerning women's rights, as well as an apparent child abuse and sexual violence. This is why we cannot have our ears closed and back down to such acts of distorting the truth.

All of these things are direct and defined orders from God to our UMC UMW, and it is up to us to bear and practice His command. This is the beginning. We must not back down in the face of such distorted truth, but instead stand upright on righteousness and defend the truth. If we look around us, just how many disadvantaged people are there, unable to voice themselves despite mistreatment. This is something that must be remembered each day and moment. Because the Lord has given us life and the time to ‘breathe,’ we are reminded that we have a calling to embrace and fulfill today.

(Written by Young shin, Secretary of New England Conference KUMw Network,N. Boston KUMC)

logo 아시안 혐오범죄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 혐오 범죄
코로나 19 이후 전 세계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 혐오의 폭력과 차별이 널리 퍼지고 있다. 특별히 미국에서는 인종 혐오 범죄가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심각한 상황까지 맞이했다. 지난 1년간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 혐오 범죄는 4,000건이 넘는 149% 증가했다고 한다. 범죄 내용은 언어폭력이 가장 많고, 따돌림과 물리적 폭력이다. 지역적으로 보면 캘리포니아가 가장 심하고 두 번째가 뉴욕이며, 그리고 아시아인이 거주하는 모든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발생 장소는 직장, 길거리, 공원, 온라인, 대중교통이다. 인종 혐오 범죄 피해자는 중국인이 가장 많고 그다음이 한국인이며, 그 외 아시아인들이다.
인종 혐오범죄의 발전 양상을 보면 네 가지 단계를 통해 발전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언어적 폭력인데 가장 많이 일어나고 있지만 경찰에 고발한 사례는 많지 않다고 한다. 또한 온라인상에서도 동양인에 대한 혐오 발언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단계는 아시아인들의 상점에 들어가 기물을 파괴하고, 낙서와 피켓으로 협박을 하는 폭력이다. 미국 전역에서 이런 폭력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세 번째 단계는 물리적 폭력이다. 이유도 없이 폭행을 가해서 육체적으로 상해를 입히는 범죄인데 이 또한 계속 증가하고 있다. 네 번째 단계는 총을 사용한 범죄이다. 그 범죄가 얼마 전 애틀란타에서 백인 청년이 아시아인들을 증오하며 살인을 행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8명이 사망했는데 한인 여성 4명이 포함되어 있다. 그렇다면 인종 혐오 범죄는 어디까지 발전해 나갈 것인가? 아시아인들은 언제까지 공포와 위협을 느끼며 살아야 하는가?
인종 혐오 범죄가 왜 일어나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가?
학자들에 따르면 첫째, 모범적인 아시아인(Model Minority)에 대한 고정관념 때문이다. 아시아인들은 모두 공부를 잘하고 열심히 일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황화 공포( Yellow Peril)이다. 아시아인에 대한 백인들의 대표적인 편견으로 황색인종들의 발전을 그냥 두면 미국 사회에 위협이 되므로 그들을 몰아내야 한다는 이론인데, 아시아인들이 미국에 동화되지 않고 영원히 외국인으로 산다고 본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정치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목적으로 인종 혐오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가 중국에서 왔다며 국민들에게 증오를 심어주어 인종 혐오 범죄를 부추겼다. 그 결과 인종 혐오 범죄 수위는 역대 최고에 달했고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에게 절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최근 애틀란타 사건으로 미국 전역에서 아시아인들이 일어나서 소리를 내고 있다. 기독교 교단들과 교회에서 기도회로 모이고, 아시안인들을 중심으로 아시안 증오 혐오 범죄를 반대하는 시위들이 미국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다. 또한 미국 내 다른 인종들도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 혐오 범죄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이제 우리 아시아인들은 인종 혐오 범죄를 막아내기 무엇을 해야 하는가?
첫째, 지금 당면한 위기를 통해 미국 내에서 아시아인들이 함께 연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그리고 미국 국회에 아시아인 정치인들을 많이 배출해서 보내야 하며, 인종 혐오 범죄를 지지하는 정치인들에게 투표하지 말며, 반대하는 정치인들에게 투표를 해 주어야 한다. 둘째, 인종 혐오 범죄를 저지르는 연령이 대체로 청년들이 많고, 인종적으로 백인과 흑인들이다. 그들의 공통점은 안정된 직업이 없고, 교육률이 저조하고, 경제적으로 가난하고, 분노 장애를 갖은 사람들이 많다. 사회의 언저리에서 미래에 대한 소망도 없이 인생을 함부로 살아가는
그들을 위해 사회가 해야 할 일이 있다. 치유와 회복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직업도 갖게 하고 사회인으로 바르게 살아 가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 한인 커뮤니티나 교회에서도 타인종의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고, 커뮤니티에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방과후 학교를 실시하여 학교 공부를 도와주고, 경제적으로 어렵게 사는 타인종 싱글마더를 돕는, 등… 이젠 이웃과 나누며 살아야 한다.
인종 혐오 범죄는 죄이다. 그 이유는 모든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았는데(창세기 1:26), 인종 혐오 범죄는 하나님으로부터 지음 받은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파괴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네 이웃을 내 몸 같이 사랑하라(마태복음 22:40).” 고 주님은 우리에 말씀하셨다. 이러한 말씀에 비추어 보자. 우리도 타인종에 대해서 차별하며 혐오한 적은 없는지 생각해 보자. 그리고 우리들이 주님을 따르는 사람들로서 인종 혐오 범죄를 막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심각하게 고민해 보아야 한다.
(글: 김명래 총무, 한인여선교회전국연합회)

 

 

Anti-Asian Hate Crimes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racial discrimination and violence toward Asians have been widespread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hate crimes targeting Asians are increasing and the situation has become serious. Over the past year, anti-Asian hate crimes have increased by 149%, with more than 4,000 cases. The violence is mostly verbal, along with social isolation as well as physical violence. Regionally speaking, the situation is worse in California, second in New York, occurring in every region where Asians reside. Such incidents occur in the workplace, the streets, park, online, and in public transportation. Among the victims are mostly Chinese, followed by Koreans, and other Asians.

When we look into how racial hatred crimes develop, there are four stages in the process. The first step is verbal violence, which is the most common, but not many have filed complaints/reports to the police. Many hateful comments about Asians are increasing online as well. The second step is abusive violence such as entering Asian-run stores with hateful comments, destroying items, and expressing threats with graffiti and signs. These types of violence are rapidly increasing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The third step is physical violence. It is a crime causing direct physical injury through assault without any reason, and these crimes are also on the surge. The fourth step is the crime of using guns. An example of this crime was the recent shootings in Atlanta, a case of a white young man committing murder in hatred of Asians. Eight people were killed in the incident, among them were four Korean American women. So how far will racial hatred crime go? How long should Asians live in fear and threat? What causes racial hate crimes to occur?

According to scholars: first, it is due to stereotypes about model minorities. The stereotype describes Asians as smart, working hard, and socially successful. The second is Yellow Peril. The theory is that if the development of the yellow race is left unchecked due to white prejudice against Asians, it will pose a threat to American society so they should be driven out. They believe Asians live as foreigners forever without assimilating to the U.S. Third, politicians use racial hatred for their own political purposes. President Trump instilled hatred in the people, saying that the corona virus came from China, encouraging racial hatred crimes. As a result, the level of racial hatred crimes reached an all-time high and continues to this day.

But despair is not the only thing left for us. In the recent Atlanta incident, Asians across the U.S. are standing up and raising their voices. Protestors gather at prayer meetings in churches and Christian denominations, and protests against Asian hate hate crimes are taking place throughout the country, led by Asians. Other races in the U.S. are also participating in protests against anti-Asian hate crimes.

Now what should we Asians do to stop racial hate crimes? 
First, the current crisis should be used as an opportunity for Asians to unite in the United States. And we should put as much effort into sending a lot of Asian politicians to the U.S. Congress, not vote for politicians who support racial hatred, and vote for politicians who oppose it. Second, it is mostly the young people who commit racial hate crimes, many of whom are ethnically white and black. Their commonalities are that there are no stable jobs, poor education, poverty, and many people with anger disorders. There is something that society should do for them who live their lives recklessly without any hope for the future living in the neglected, isolated corners of society. Education for healing and recovery should be provided to help people secure jobs and live a decent life as members of the society. Third, the Korean community and churches must also provide scholarships to students in need from other races, provide after-school classes for students in need in the community to help them continue with their education, and assist single mothers from other races suffering from financial insecurity. We must now live by sharing with our neighbors.

Racism is a crime. The reason is that all human beings were created in God's image (Genesis 1:26), and racial hatred crime is an act of destroying the dignity and value of human beings who were created by God. "Love your neighbors like yourself (Matthew 22:40)" the LORD has commanded to us. Let's take these words and reflect. Let us look back if we have also discriminated against and expressed hatred towards other races.  And as Christ-followers, we must deliberately consider and think about what we must do to prevent hate crimes.

(Written by Myungrae K. Lee, Executive Director of NNKUMw)

 

 

logo

 

우리는 어떤 종류의 차별도 용납하지 않는다

 

형형색색의 꽃 틈사이에 놓인 ‘STOP ASIAN HATE’ 피켓, 그리고 누군가의 엄마와 아내와 친구를 기리는 추모글들이 가지런히 놓여있는 그곳엔 따뜻한 3월의 봄 햇살이 내리쬐고 있었다. 우리말에 ‘지독히도 처연하다’라는 말이 있다. 애달프고 구슬픈 맘이 찬란한 봄 햇살을 맞아 더 지독히도 처연했다. 사건이 일어난 곳이 마사지샵이라는 것에 포커스를 맞춘 루머들이 돌고, 한국 여성 4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추모 발걸음이 너무 없다는 소식에 꽃과 화분을 들고 찾은 현장에서 내내 마음 한쪽이 먹먹하고 쓸쓸했다.


사람들은 아시안을 수줍음이 많고 조용하다고 표현한다. 수줍음이 많아 조용하다는 침묵하다는 것과는 분명 거리가 있다. 지금, 우리는 침묵해야 할 때인가? 나와 내 가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불의에 대해서는 늘상 침묵으로 일관해 왔다. 행동하는 것에 얼마나 많은 주저를 하고, 유별 떤다는 눈초리에 예민했던가를 되돌아보며, 애틀란타 RALLY 현장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아시안을 대상으로 한 인종차별 범죄가 급증하며 한인들의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시국에 일어난 애틀란타 총기사건, 아시안증오 범죄에 대한 우리의 아픔에 기름이 부어졌고 드디어 폭발했다. 조용하게 참는 것이 미덕이라는 배경과 이민자라는 소수에 밀려 아시안을 향한 인종차별 범죄는 그동안 수면위로 많이 드러나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이젠 우리도 행동할 때라는 위기의식이 모두에게 드리워진 탓일까? 지난 3월 20일 애틀란타 다운타운 RALLY 현장에는 팬더믹이 무색하리만큼 많은 사람이 모여들었다. 올망졸망 한 살 터울인 꼬맹이 셋을 데리고 나온 젊은 부부부터 백발이 드리워진 70의 노부부까지 다양한 인종, 넓은 연령대가 모여 인종차별주의자들을 규탄하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간을 가졌다.
팬더믹 시국의 주범으로 몰리며 증오 대상이 된 아시안을 향한 무분별한 인종차별, 그리고 증오 범죄를 규탄하는 시위조차도 타깃이 되고 있어 사태는 매일매일 악화일로이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은 인종차별 범죄에 대해 심각함을 인식하고 있고, 우리와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마냥 두려워하기보다는 연대하여 사회정의를 실천하는 그리스도인의 모습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 거류민이 너희의 땅에 거류하여 함께 있거든 너희는 그를 학대하지 말고 너희와 함께 있는 거류민을 너희 중에서 낳은 자 같이 여기며 자기같이 사랑하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거류민이 되었느니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 (레위기 19:33-34) 이방 나그네를 사랑하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여호와 하나님의 정의와 배려에 새삼 감사를 드리며 이 위로가 모두에게 전해지길 기대한다.


(글: 이미숙 집사, 전국연합회 공천위원, 북조지아 연회 한인여선교회연합회, 베다니UMC)

 

 

WE HAVE NO TOLERANCE FOR DISCRIMINATION OF ANY KIND
The warm March spring sun was shining upon pickets saying "STOP ASIAN HATE" placed between colorful flowers and memorial statements honoring someone's mother, wife and friend. There is a Korean saying, "Tragically sorrowful." The heart of sorrow and grief was even more tragic under such a glorious spring sun. Saddened by the news of a few memorial visits by Koreans although among the victims were four Korean women, I visited the scene with flowers and flower pots. With rumors circulating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incident took place at a massage parlor, my heart was sad and lonely throughout the visit.
People describe Asians as shy and quiet. There is definitely a difference between being quiet out of shyness and being silent. Is now a time for us to be silent? Until now, I have been silent on the injustices that were not directly connected to me and my family. Looking back on how much hesitation I have had in taking action and how exceedingly careful I was to others’ judgments about ‘overreacting,’ I took my steps toward the rally scene in Atlanta.
At a time in which racist crimes against Asians have soared and voices are rising concerning the safety of Korean Americans, the Atlanta shooting incident and Asian hate crimes fueled our pain and let it finally explode. Racist crimes against Asians have not been brought up to the surface as much, hidden in the dark due to hindrances such as the cultural norm of viewing patience as a virtue as well as being a minority immigrant population. But perhaps we have now sensed a risk of crisis that it's time for us to act? On March 20, a large crowd gathered at the rally site in downtown Atlanta amidst the pandemic. From young couples with three young children around 1 year old, to grey-haired elderly couples, a wide range of racial and age groups gathered around to denounce racists and commemorate the victims.
The situation is getting worse day by day with increasing racist hate crimes toward Asians being blamed as the main culprit of the pandemic, with anti-hate crime protests even being targeted. However, many people recognize the gravity of racist crimes and are raising the same voices with us. It is now more urgent than anything else for Christians to be practicing social justice in solidarity than just being trapped in fear.
"When a foreigner sojourns with you in your land, you shall not do him wrong. You shall treat the foreigner who sojourns with you as the native among you, and you shall love him as yourself, for you were strangers in the land of Egypt: I am the LORD your God." (Leviticus 19:33-34)
I give thanks to Jehovah God’s justice and caring heart for the socially weak, and I hope that these reassuring words will reach all.
(Written by Meesook Lee, Nomination Committee of NNKUMw, N Georgia Conference KUMW Network, UMC in Sugar Hill)   

 

logo

 

아시안 혐오 반대 시위에 대한 묵상


교회 선교부에서 매달 한 번씩 방문하는 홈레스 쉘터에 저녁 식사를 갖다 드리고 오는 길이었다. 무엇인가 좋은 일을 했다는 뿌듯함을 가지고 로렌스에서 내려오는 중, 엔도버 사거리에서 몇십 명의 사람들이 무리 지어 서 있는 모습이 보였다. 조용히 질서 있게 서서 저마다 피켓을 들고 있는 모습에 도대체 무슨 일인가 하고 차의 속도를 줄였다. “STOP ASIAN HATE”를 들고 시위를 하는 것이었다. 차를 돌리는 중에 마지막 피켓을 통해서 무슨 일인지 파악한 터라, 차가 이미 그 장소에서 멀어졌지만, 갑자기 그냥 지나칠 일이 아님을 깨달았다.
함께 차에 있던 집사님과 다시 그 자리로 가서 격려와 감사를 드리고 사진도 찍어서 다른 분들께도 알리기로 했다. 그래서 다시 차를 돌려서 그 사거리를 갔다. 여러 차가 응원의 크락션을 울리며 지나갔다. 물론 그냥 스치는 차도 있었지만.
창문을 내리고. 크락션을 울리며, 손을 흔들며 ”Thank you, Thank you, Thank you!!!” 소리쳤다. 피켓을을 드신 분들이 대답으로 손을 흔드셨다. 갑자기 가슴이 뜨거워짐을 느꼈다. 이렇게 우리 곁에 따스한 사람들이 있었구나, 우리가 혼자가 아니구나.... 너무나 고맙고, 고마웠다. 그러면서 애틀랜타 총격 사건이나, 그간 간간이 들은 아시안 혐오들로 인한 뉴스를 들으며 내 마음이 많이 힘들고 외로웠다는 것을 그제야 깨닫게 되었다. 조용히 묵묵히 서서 침묵의 소리를 외치는 그 들 중에는 상당수의 백인들도 있었다.
그 후, 나의 마음속에서는 여러 가지 갈등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우리는 아시안들이 집중적으로 공격을 당한다고, 아시안들을 보호해야 하고, 백인우월주의의 부당함을 항의해야 한다고 흥분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부당함을 당하는 인종이 우리뿐인가? 바로 얼마 전 흑인들이 겪고 있는 불의와 부당함에 항거하는 ” Black Lives Matter” 그 시위에 우리는 얼마나 한 마음이 되어서 그분들의 자리에서 목소리를 내었는가? 솔직히 우리 연합회에서도 의논은 했지만, 코로나가 가장 큰 이유였지만, 대부분 소극적인 태도로 결국 아무 행동도 하지 못했다. 나를 포함해서 우리는 먼저 나서기를 두려워했다. 우리 자신에게 올 불이익과 불편함을 감수하기엔 우리의 마음이 따라주지를 못한 것이다. 만약 우리 자녀나 가족, 친척이 이러한 일을 당했다면 어떠했을까?
우리는 당연히 잘못된 아시안에 대한 편견과 불의한 폭력에 대해서 힘을 합해서 대응을 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 자신들의 다른 인종들에 대한 편견과 불의는 어떻게 할 것인가?
성경 말씀에 남의 눈이 티끌에 빼려고 하기 전에 먼저 네 눈의 대들보를 먼저 제거한 후, 바로 보고, 다른 이들의 티끌을 빼라고 하셨다. 우리는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하지 않을까? 흑인들에 대한 우리의 오만한 언어들, 히스패닉에 대한 무시하는 태도, 일본인들에 대한 증오의 시선들, 한국에 이민 오는 중국교포들이 받는 불공평들, 저개발국가들에서 온 취업인들에 대한 차별대우와 폭력들... 한국인 모두가 그렇다고 일괄적으로 몰아가는 것은 부당하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생존을 위한 몸부림으로 살아왔기에, 그저 조용히 침묵하며, 이 사회에 적응하려고 살아 온 많은 우리들이 타인종에 대한 관심과 배려하기엔 너무도 삶의 여유가 없었다고 변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소리를 내어야 할 때, 누군가의 아픔을 함께 해야 할 때, 머리를 돌리고 외면했다면 그것도 또 하나의 폭력이라는 말을 들었다.
다른 인종에 대해 우리 내면으로부터 우러난 진정한 관심과 사랑으로 그분들의 자리에 서는 연습부터가 아시안들에 대한 혐오를 근절시키는

운동의 시작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크리스천으로 선한 일을 한다는 위에서부터의 우월감이 아니라, 진정 우리가 그들의 그 자리에 서는 겸손함과 우리도 똑같은 약함과 결함이 있는 인간임을 인정하고, 진정한 사랑으로 그들과 함께 아픔의 자리 고통의 자리에 나가는 그러한 성숙한 믿음의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이다. 노숙자 쉼터에 음식을 갖다 드리고 오면서 내가 가졌던 자부심이 너무나 부끄러웠다. 그들과 나를 전혀 다른 인간으로, 다른 세상에 속한 사람으로 선을 베풀었다면 그것이 진정한 사랑일까? 우리 예수님께서는 그 높고 높은 하나님의 자리에서 인간으로 오셨다. 우리의 모든 아픔과 고통과 약함을 경험하시고자, 우리의 자리에 오셨다. 가장 약한 모습으로 가장 누추한 곳, 가장 낮은 곳에 오셨다. 그리고 우리의 추하고 악한 죄를 용서하시고, 구원의 길을 열어주시고자, 십자가의 수치과 모멸과 고통을 당하시고 마침내 죽음의 길을 가셨다. 주님께서는 가난한 자, 창녀와 죄인들의 친구셨다.
오늘, 우리 아시안들의 자리에 내려와서, 묵묵히 시위하시던 그 분들의 그 모습을 생각하며, 지금 내가 서야 할 곳이 어디이며, 내 마음이 가야 할 곳이 어디일까를 깊이 생각 묵상해 본다. 분명 그 사거리를 지나면서, 피켓을 들고 서 있는 그들이 만든 그 공간에서 내가 경험한 것은 그 속에 일어나는 공감과 존중 그리고 우리는 하나라는 놀라운 위로와 일체감이었다.
그렇다! 우리는 소망이 있다. 뿔뿔이 흩어지고, 각기 자기의 길로 살아가는 우리지만, 진정 주님을 닮은 낮아진 마음으로 서로를 향한 깊은 관심과, 존중, 사랑을 회복한다면, 분명 소망은 있을 것이다. 너무나 많은 것을 요구한 것인가? 그렇다면 먼저 내가 그 어떤 분의 자리에 가서 관심으로 조용히 그분이 살아 온 삶을 바라보는 것부터 시작해 보면 어떨까? 십자가 죽음 이후에, 부활의 아침이 밝아왔듯이 우리의 삶에 새로운 인간애의 회복, 하나됨의 사랑이 피어나길 간절히 기도한다. 그 누구도 아무 편견 없이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그러한 사회가 될 수 있기를….
(글: 김지영 권사, 뉴잉글랜드 연회 한인여선교회연합회 회장, 북부보스턴 교회)

 

 

Reflection on the Asian Hate Protest

I was on my way back from the church mission bringing dinner to a homeless shelter, which we visit once a month. Coming down from Lawrence with a feeling of accomplishment of doing something good, I could see a dozen people lined up and standing at the Endover intersection. I slowed down the car, wondering what was going on as each of them stood quietly and in an orderly manner, holding a picket. The sign they were holding up read "STOP ASIAN HATE." While turning the car, we figured what was going on, and although the car had already moved away from the scene, we realized that it was not something we could just pass by. I decided to go back with my church member who was in the car with me, to give the people some encouragement and gratitude for what they're doing, and take photos of it to let others know. So I turned the car around and went to the intersection. Several cars also passed with clanging and cheering. There were cars that passed by, of course.
With the window rolled down, we rang, waved and shouted, “Thank you, thank you, thank you!!!" Those holding out the signs waved their hands back in response. Suddenly, I felt my heart heat up with warmth. We are not alone, for we have such warm people around us. I was so thankful and grateful for them. Moreover, I realized that my heart had been very lonely and difficult recently, going through the Atlanta shootings and listening to Asian hate all over the news. Many of the silent protestors standing there were white.

Afterwards, various conflicting thoughts came up in my mind. We are heated and focused on saying that Asians are targeted and attacked, that we should protect Asians, and speaking against the injustice of white supremacy. But are we the only people suffering injustice? Just a few months ago, how much did we become united in the Black Lives Matter movement protesting for the injustices the Black people are experiencing and speaking out for them?
Frankly, our conference network had a discussion about it, but with COVID precaution being the biggest reason, second being passive attitudes we weren’t able to do anything in the end. We–including myself–were afraid to take the first step of action. Our hearts couldn't keep up with the possible disadvantages and inconveniences that would come to us, despite our will. But what if it was our children, family members, or relatives that were subjected to this?

Of course, we must unite and work together to act against the prejudice and unlawful violence towards Asians.  But what about the injustices and prejudices toward other races than our own? The Bible tells us to remove the speck from our own eyes before removing others’. Shouldn't we change fundamentally? Our indifferent choices of words toward the Black people, our disregard for the Hispanics, our hatred against Japanese, the inequality that other immigrants coming to Korea experienc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gainst workers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Of course it must be unfair to say that all Koreans are responsible for these. We could claim an excuse that we lacked the luxury or comfort to care for others, since we were so desperate for survival even for our own selves trying to adapt to this society. I heard that being a bystander at moments I should be raising my voice together and being in solidarity with through the pain, is another form of violence. With true attention and love from our inner hearts toward other races, practicing to be on their side can be the start of eradicating Asian hate.

We should not have a superior attitude of being a Christian doing a good deed, but truly become those of mature faith by humbly acknowledging that we are fellow weak and faulty humans, and that we are the same weak and flawed human beings, and go out to the places of pain and suffering along with them with true love.

I was so ashamed of the feeling of pride I had about bringing food to the homeless shelter. Would it be true love if I offered goodness as completely different human beings belonging to a different world? As we are now going through Lent, our Jesus Christ came down as a fellow human from the place of the high and Almighty God. He came to us to bear and experience all our pain, suffering, and weakness. He came to the lowest and the bottommost place in the weakest form. And to forgive our sins and wickedness and to open up the way for salvation, He suffered the path of uttermost disgrace, humiliation and suffering at the cross and took on the valley of death. Christ was a friend to the poor, prostitutes and sinners.

Today, seeing those silent protestors who stood for us Asians, I am deeply meditating and reflecting on where I should be standing now and where my heart should be heading towards next. What I experienced today passing by the intersection on where the silent protests were standing was a feeling of solidarity, a wonderful reassurance arising from empathy, respect, and unity. Yes! We have hope. Despite being scattered apart and living separate lives, if we restore our deep attention, respect and love for another in Christ-like humility, there is definitely hope. Is this too much to ask? Then how about starting with putting yourself in someone else’s shoes and attentively observe and think about the life he/she has lived? Just like the Easter morning came after the death on the cross, I sincerely pray that a new love for one another would be restored and love of unity would bud in our lives. Hoping for a society where everyone respects and cares for one another without any prejudice…

(Written by Jiyoung Jin, President of New England Conference KUMw Network, N.Boston UMC)

logo 책 소개

제목: 하나님과 팬데믹
저자: 톰 라이트


저자인 톰 라이트는 구약과 신약의 본문들을 주해하면서 그 주해에서 나온 통찰력을 갖고 코로나 시대에 그리스도인들이, 교회가 어떤 태도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를 간략하게 제안한다. 이 제안은 사실 특별히 새로운 건 없다. 보편적으로 누구나 평소에 하는 말들이고, 코로나 시대가 아니더라도 교회에겐 늘 당연한 모습이긴 하지만, 톰 라이트가 성경 구절을 근거로 절절하게 호소하고 있기에 설득력 있게 가슴에 다가온다. 너무나 진부할지는 모르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이 정답일 때가 너무나 많다는 것을 살면서 우린 배워왔다. 이 책은 짧지만 유익하다. 이 책 자체가 지금의 상황에 대해 온전한 답을 제시하거나 포스트 코로나를 전망하게 하지는 않지만, 우리가 그리고 교회 공동체가 어떻게 지금 이 상황을 대처하고 또 내 옆에 있는 이들과 이 사회를 도울지를 보여준다

(글: 김매리안 사모, 전국연합회 독서프로그램위원장, 북조지아 연회 한인여선교회연합회)

 

 

 

Title: God and the Pandemic
Author: Tom Wright

Author Tom Wright summarizes the attitude and role which the church and Christians in the pandemic age should take, with insights from the Old and New Testament passages. This proposal is actually nothing particularly new. Found in the book’s content is what we commonly say every day and is what the church has always been expected to do, but Tom Wright’s desperate appeal based on the biblical references will certainly speak to your heart. Though it may be too cliche, life teaches us that many times, we know the answer.
This book is short but informative. The book itself does not give a complete answer to the current situation nor provide an extensive anticipation of the post-COVID era, but it shows how we and the church community can cope with the situation and help those around us and the society.

(Written by Marian Kim, Reading Program Committee Coordinator, N. Georgia Conference KUMw Network)

logo 제2회 학당 안내

 

학당은 New Normal 시대를 맞아 사회, 경제, 문화, 역사,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을 통해서 새로운 문명의 시대를 맞아 ‘보다 나은 미래’  새로운 을 만들어 나가고자 실시하고 있습니다. 


2 학당은 빈민선교슬럼가에 꽃을 피우다로 필라델피아 슬럼가에서 삶으로 이웃을 섬기며 사역을 하시는 이태후 목사님이 인도하실 예정입니다. 강의를 통해서 생존을 위해 살아가는 어려운 이웃들, 벼랑위에서 서있는 사람들에게 복음이 어떻게 전해져야 하는 지를 현장속에서 전해 주실 것입니다.


424(서부시간 오후4-6중부시간 오후6-8동부시간 오후7-9에 만나뵙겠습니다.

보내드리는 포스터에 등록하기를 누르시면 등록용지가 나오고 작성하셔서 보내주시면 됩니다.

등록비는 $20로 Zelle (Bank account: nnkumw93@gmail.com) 또는 체크로 보내실수 있습니다.

Check 보내실 곳

Pay to : NNKUMW

주소 : Eunsoon Song  2 Henlopen Ct, Newark, DE 19711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명래 총무
한인여선교회전국연합회(NNKUMW)

914-473-7401
mrkim81@gmail.com
nnkumw93@gmail.com    
www.nnkumw.org

 

logo 선교적 유산헌금

 

한인여선교회전국연합회의

선교적 유산을 이어 주세요!


한인여선교회가 조직되고 선교사역에 참여한지 올해 30년의 역사를 맞이합니다. 그동안 한인여선교회 회원들을 위한 지도자훈련과 우리의 딸들인 2세 한인여성들을 위한 지도자훈련을 함께 실시해 왔습니다. 또한 아시아에서 연합감리교회 여성들을 위한 지도자훈련을 실시하여 함께 배우고 나누고 성장해 왔습니다.
“여성이 여성을 도와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든다”는 이념으로 평신도 여성지도자를 양성해온 믿음의 선배들은 물질과 기도와 헌신으로 위대한 여성 선교의 역사를 써내려왔습니다. 그분들이  ‘여성과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선교’를 위해 남긴 위대한 선교적 유산을 우리가 이어가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정성어린 기부를 부탁드립니다.


@ 한인여선교회전국연합회는 501C 비영리기관입니다. 기부자는 세금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기부 방법: Check Pay to NNKUMW
@ 보내는 장소:  Eun Soon Song, 2 Henlopen Ct, Newark, DE 19711
@ 문의: 김명래 총무 nnkumw93@gmail.com /  914-473-7401

(글:김명래 전도사, 한인여선교회 전국연합회 총무)

 

 

 

 

Please help continue the Mission Legacy of NNKUMw!

This year marks 30 years of history since KUMW was organized and started participating in mission work. Since then, we have been holding leadership training for our KUMW members as well as our daughters, second-generation Korean women. Moreover, we have been learning, sharing and growing together through holding leadership training for UMW women in Asia.
Our seniors of faith have trained lay female leaders under the vision of "Women help fellow women to make a better future,” continuing to write the history of great women mission with offerings, prayers and dedication. We want to continue this great mission legacy they have left for us to do "missions for women, children and youth." Hence, we sincerely request for your donation.

*NNKUMw is a 501C nonprofit organization. Donors can receive tax deductions.

How to pay: Check Pay to NNKUMw
Pay to:  Eun Soon Song, 2 Henlopen Ct, Newark, DE 19711
Make any inquiries to: Myungrae K. Lee, Executive Director nnkumw93@gmail.com /  914-473-7401

Copyright © 2008 www.nnkumw.org National Network of Korean-American United Methodist women All rights reserved.
한인여선교회 전국연합회 연락처 : 57-38 Cloverdale Blvd., Oakland Gardens, NY 11364 • 전화 : 914-473-7401 • nnkumw93@gmail.com

발행인: 이성은 회장/김명래 총무/권오연 /한글교정-안영숙/영문번역-배예진/Web Master-김시춘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 31 Next
/ 31